안녕하세요. 릴스로만 12억 뷰를 만든
릴스에 미친 남자, 릴스해커입니다.
오늘은 패션 크리에이터 블로크(@vlo__k)님이
릴스 조회수 800~1400대에서
조회수 250만 뷰를 찍고,
매출 1500만원을 만든,
그 비법을 공개합니다.
숏폼 마케팅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꼭 끝까지 봐주세요!
이랬던 계정이 4개월 만에 👇
요래됐습니당~
릴스 영상들이 터지기 시작하면서
직접 운영하시는 쇼핑몰의 매출 증대로 이어졌는데
조회수 250만 뷰 나온 영상 하나로만
무려 1,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하네요😲
블로크님처럼 쇼핑몰을 운영하는
온라인 판매자분들에게
이제 '숏폼 마케팅'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 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께는
이 글이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니
꼭 끝까지 읽어 보세요.
글 마지막에 블로크님이 터지는 영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던 피드백 라이브에 대한
정보도 담겨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
기존 영상의 문제점
문제점 (1): Before/After 모습이 별 차이가 없다.
두 사진을 봤을 때
차이가 느껴지셨나요?
릴스 같은 짧고 빠른 영상에서는
차이가 한 눈에 확 보이지 않는다면,
시청자들은 차이를 제대로 느끼기 힘듭니다.
특히나 해당 영상에서는
각 장면이 0.1초 만에 지나가니
정작 뭐가 다른지 모르겠더라고요.
이 영상의 주제가 ‘핏의 중요성’ 이었는데,
핵심 포인트가 전달되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문제점 (2): 배경이 이쁘지 않다.
패션 영상에서는 배경 선택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시선이 배경이 아닌 "내 코디"에 집중돼야 하기 때문에
촬영 장소를 꼼꼼히 체크해야 해요.
해외 패션 영상들을 보시면 확 느끼실 수 있습니다.
위 코디들이 더 멋져 보이는 건
블로크님보다 옷을 잘 입어서가 아니라
배경 덕분에 영상의 분위기와 퀄리티가
한층 업그레이드된 거라 생각합니다.
패션 카테고리에서는
스타일과 무드를 살리는 게 핵심이에요.
배경과 옷이 어울리는 분위기를 연출해야
코디의 매력이 배가 되는 법입니다!
문제점 (3): 영상이 재미없다.
블로크님의 영상이 재미없게 느껴지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 움직임이 거의 없다.
기존 영상을 보면 주로 걸어 다니는 장면이나
사진 슬라이드 쇼 형식으로 코디를 보여주는데요.
위의 예시처럼 팔을 벌려 옷을 더 보여주거나
뛰는 동작으로 역동성을 높인 영상과 비교하면
지루하게 느껴질 수 밖에 없죠.
둘째, 편집이 단조롭다.
릴스처럼 짧은 영상에서는 몇 초 안에
시청자의 관심을 사로잡아야 하기 때문에,
효과음이나 애니메이션을 적절히 활용하면
영상이 한층 더 역동적이고 흥미롭게 느껴져요.
이런 요소들을 영상에 넣는 걸 추천해드렸죠.
피드백 후 영상이어떻게 달라졌을까요?
피드백 후 변화
개선된 점 (1): 차이가 확실히 보이는 Before/After
피드백 이후 영상에서는
전후 차이가 훨씬 뚜렷하고,
각 비포/애프터 장면이 더 길게 나옵니다.
예를 들면 티셔츠의 소매 부분이
핏을 망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소매를 가리키는 디테일까지 살리셨죠.
이렇게 '차이'에 집중하게끔 영상을 구성하니
전보다 훨씬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었습니다!
개선된 점 (2): 깔끔해진 배경
우선 배경에 있던 옷걸이를 치우고
바닥에 흩어져 있던 물건도 말끔히 정리했죠.
배경에 큰 변화를 줬다거나
장소를 바꾼 것도 아니지만
영상의 전체적인 느낌은 한층 더 깔끔해졌습니다.
시선을 분산시키는 것들을 걷어내니
코디에 더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선된 점 (3): 다양해진 움직임과 구성
- 움직임의 다양성
이번 영상에서는 움직임이 훨씬 다채로워졌어요.
점프하는 장면, 손으로 엑스자를 그리는 모습,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장면 등
역동적인 장면들이 눈에 띄었죠.
특히 옷의 장점을 강조하는 모션이 인상적이었어요.
어깨선이 들어갔다는 포인트를 설명할 때,
단순히 보여주기만 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모션으로 강조하셨죠.
마찬가지로 옷감이 쫀쫀한 포인트를 어필할 때
소매 부분을 잡아당기는 장면도 좋았습니다.
제품의 장점을 움직임으로 표현하니
훨씬 와닿는 느낌이었어요.
2. 창의적인 편집
편집적인 면에서도 업그레이드된 것을 보았습니다.
마치 옷이 바닥에서 위로 올라가는 듯한 느낌을
역재생 기법으로 연출한다거나,
점프하는 순간 옷이 바뀌는 장면들이 신선했습니다.
거기다 강의에서 배운
'상식 깨기' 요소까지 적용했더라고요.
라이터로 명품 티셔츠를 태우는 듯한
충격적인 초반 3초로 비주얼 후킹을 요소를 잘 활용하셨죠.
이렇게 상식을 깨는 요소로
사람들의 시선을 단번에 끌어당길 수 있었어요.
결과적으로 피드백을 받은 후 제작한 영상은
250만 뷰를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실제 매출까지 이어지게 되었던
좋은 숏폼 마케팅 사례였습니다.
처음부터 숏폼을 잘 만든다는 건,
쉬운 일은 아닙니다.
이렇게 전환까지 만들어 내는
숏폼을 만드는 건 더 어렵죠.
하지만 이제 숏폼 마케팅이 필수가 된 만큼
계속 도전하고 연습하셔야 합니다.
혼자 하기 어려우시다면,
릴스해커가 직접 진행하는
무료 피드백 라이브에 참여해 보세요.
이미 6000명 넘는 크리에이터가 들었고,
수강생 분들은 누적 10억 조회수를 만들었습니다.
라이브 신청하러 가기👇
듣기만 해도 성과가 나오는 [무료 라이브 컨설팅]
5개월 만에 릴스로만 1억 조회수, 절대 운이 아닙니다. 그 모든 것을 공개하겠습니다.
reelshacker.co.kr
'수강생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릴스해커 피드백을 받고 팔로워가 4배 늘었습니다 (0) | 2024.08.07 |
---|---|
릴스 마케팅으로 3달치 예약이 마감됐어요 (feat. 릴스해커) (0) | 2024.07.16 |
[릴스해커 수강생] 릴스 하나로 팔로워 2.2만명이 늘었어요 (0) | 2024.07.15 |
릴스해커 피드백 받고 470만 릴스를 만든 방법 (0) | 2024.07.12 |
릴스해커 피드백 받고 릴스 조회수 5천 → 80만 만든 육아맘 계정 (0) | 2024.07.11 |